취업, 이직, 복지 제도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핵심이 되는 자격기준이 있습니다.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“내 가구가 몇 % 수준인지?”, “2026년 기준은 어떻게 바뀌었는가?”, “각종 복지급여 (주거·교육·의료) 신청 조건은?”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중위소득이란?
‘기준 중위소득’이란, 전체 가구소득 순위 중 중앙값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하며, 이 수치를 기준으로 각종 복지급여(생계급여·의료급여·주거급여·교육급여) 대상이 결정됩니다.
즉, 내 가구의 소득이 이 기준에 비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2026년 중위소득
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5년 대비 약 6.51% 인상되었습니다.
대표 가구원 수별로는 다음과 같은 금액이 예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:
- 1인 가구: 약 2,564,238원
- 2인 가구: 약 4,271,965원
- 3인 가구: 약 5,522,712원
- 4인 가구: 약 6,494,738원
- 5인 가구: 약 7,404,192원
(정확한 금액은 가구원 수와 매년 고시되는 자료를 참고하세요)

중위소득 확인방법 (계산방법)
내 가구가 중위소득 대비 어느 수준인지 직접 계산해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내 가구의 월 소득 또는 소득인정액을 파악
→ 근로소득, 사업소득, 금융소득, 이전소득 등 + 재산의 소득환산액 포함 -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금액과 비교
→ 예) 4인 가구 기준: 약 6,494,738원 - 비율 산출→ 예: 4인 가구 소득이 4,000,000원이라면
4,000,000 ÷ 6,494,738 ≒ 61.6% → 즉 ‘중위소득 63% 이하’에 해당 가능 -
내 가구 소득 ÷ 기준 중위소득 × 100 % = 내 가구 중위소득 비율
-
중위소득 63%이하란?
일부 복지급여에서는 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63% 이하여야 신청자격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
대표적인 선정기준 예시는 아래 표 참고하세요
| 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 (예시) | 63% 이하 금액 (계산 예시) |
| 1인 가구 | 2,564,238원 | 약 1,615,000원 |
| 2인 가구 | 4,271,965원 | 약 2,692,000원 |
| 3인 가구 | 5,522,712원 | 약 3,479,000원 |
| 4인 가구 | 6,494,738원 | 약 4,092,000원 |
| 5인 가구 | 7,404,192원 | 약 4,664,000원 |
※ 재산환산액, 부양의무자 기준 등 세부요건에 따라 실제 적용되는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복지급여 주요 선정기준 및 금액 예시
아래는 2026년 기준으로 보도된 주요 급여별 선정기준 비율 및 금액 예시입니다.
| 급여명 | 선정기준 비율 | 예시 금액 (4인 가구 기준) |
| 주거급여 | 기준 중위소득의 48% 이하 | 약 311만 7,474원 이하 |
| 교육급여 | 기준 중위소득의 50% 이하 | 약 324만 7,369원 이하 |
| 의료급여 | 기준 중위소득의 40% 이하 | 약 259만 7,895원 이하 |
이 표를 통해 “내 가구가 이 급여를 받을 자격이 되는 수준인가?”를 빠르게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.

마무리
-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고시되며, 내 가구의 소득이 어떤 비율에 해당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- 위 표의 금액들은 예시이므로, 상세한 산출은 공식 발표 자료나 상담센터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.
- “내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대비 몇 %인지 계산하고 → 해당 급여의 선정기준(48%, 50%, 40% 등)과 비교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- 복지 서비스 신청 전에는 반드시 소득인정액 산출 방법, 재산환산액 포함 여부, 부양의무자 조건 등을 확인하세요.
- 궁금하다면 공식 사이트(예: 보건복지부, 복지로)에서 최신 고시문을 확인하고, 필요 시 상담을 받는 걸 추천드립니다.
지금 바로 내 가구 소득을 계산해보고, 해당 급여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해보세요!
함께보면 좋을 글
노령연금 부부합산 금액, 감액기준까지 한눈에 정리
1. 기초노령연금(기초연금)이란?기초연금(일반적으로 ‘노령연금’이라 부르기도 합니다)는 만 65세 이상이고,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 이하인 어르신에게 지급되는 복지형 연금제도입니다. 신
yidstory.com
의료급여수급권자 뜻|1종·2종 조건 및 혜택 총정리 (MRI 예방접종 응급실 비용 포함)
의료급여수급권자 뜻, 아직 정확히 모르고 계셨나요?정부의 지원 제도 중 하나인 의료급여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분들이 병원비 걱정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. 특히 MRI 비용
yidstory.com
기초수급자 장례비 지원 총정리|2025년 최신 장제급여 신청 방법
갑작스럽게 가족을 떠나보내야 하는 순간, 마음의 슬픔도 크지만 장례비용이라는 현실적인 부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.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에서는 장례 절차부터 비용까지 큰 고민이 따
yidstory.com










